디지털시대인 요즘 휴대폰으로 일상 속에서 언제든지 입력할 수 있고 컴퓨터 앞에 앉았을 때 몰아서 가계부 입력하기에도 편리한 PC연동기능까지 있는 국민 가계부 어플 중 하나인 편한 가계부 어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.
편한 가계부 사용법
편한가계부는 구글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. 다운로드하고 처음 실행시키면 중간 이미지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오른쪽 십자가 버튼을 누르면 가계부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옵니다. 수입/지출/이체 탭으로 세분화되어 있습니다. 내용 칸에 소비한 내용 예를 들어 [커피]라고 입력하면 다음 기입 시 '커'자만 입력해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에 내용이 자동완성으로 뜨는 내용자동완성 기능이 있어 반복지출 입력 시에 굉장히 편리합니다. 추가입력 부분에 해당 수입/지출/이체 관련한 영수증이나 관련 메모 또는 사진을 남길 수 있어서 기억할 일이 있다면 참고로 적어 둘 수 있습니다.
편한 가계부 설정 활용 팁
단순히 수입/지출을 입력하는 가계부를 넘어서 편한 가계부의 메뉴를 활용하여 나에게 꼭 맞는 맞춤형 가계부로 만들어 봅시다. 먼저 편한 가계부 어플 하단의 더 보기 점 세 개를 눌러 설정화면으로 들어갑니다.
- [가계부 탭 설정]으로 들어가면 매달 가계부의 월 시작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- 수입분류와 지출분류는 자신의 상황에 맞게 카테고리를 간단하게 적어주면 됩니다.
- 편한가계부에서는 신용카드를 좀 더 꼼꼼하게 기록할 수 있도록 [더 보기-설정-자산설정-자산설정-카드]로 들어오면 해당 카드의 정산일/결제일/자동결제 등 신용카드에 관련된 정보들을 상세히 기록할 수 있습니다. [더 보기-설정-자산설정-카드지출 반영방법]에서는 매번 카드사용지출을 입력할 때마다 단순지출로 반영할지 나중에 모아서 카드대금으로 지출에 반영할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[카드이용실적] 부분에서는 각각 카드의 혜택을 받기 위한 최소 실적금액을 적어놓고 참고할 수 있습니다.
- [예산설정]으로 들어가서 이번달 목표 지출에 관하여 미리 설정할 수 있습니다. 2번에서 만들어놓았던 지출 카테고리에 월별/주별/연별 예산을 미리 적어놓고 [어플 하단 큰메뉴의 통계-예산] 메뉴를 눌러 계획했던 예산에 비해 얼마나 돈을 썼는지 상시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.
편한 가계부 PC 버전
편한 가계부 pc버전 다운로드: https://cafe.naver.com/cashbook/25677
편한 가계부 PC버전도 휴대폰 버전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합니다. pc화면에서 설정해 둔 내용도 바로바로 휴대폰에서도 연동이 되기 때문에 자산그룹이나 지출그룹 설정 또는 예산 설정처럼 조금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을 할 때는 확실히 컴퓨터로 입력하는 게 훨씬 편했습니다. 편한 가계부 어플은 현재도 계속해서 업데이트 진행 중이라 어플을 잘 관리해주고 있어서 믿음이 갑니다. 다만, 휴대폰에서는 잠금설정이 되지만 pc버전에서는 따로 잠금 기능이 없는 것은 조금 아쉬운 부분입니다. 무엇보다 가계부 입력하는 방법이 간편하고 수입과지출 통계가 월별/주별/연도별/항목별 등 구체적으로 눈에 띄는 도표와 함께 확인할 수 있어서 만족스럽습니다.
댓글